
전자상거래 기업의 분석 도구 관리 사례
The Situation
A기업은 약 2년간 Google Analytics를 업데이트 하지 않고, 이전 업체에 의해 세팅된 코드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에도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던 상태였습니다. A기업은 내부에 많은 브랜드가 속해 있는 구조로,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단일 코드를 통해 Google Analytics를 설치하였습니다. 그러나, 각 사이트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 구조, 삽입된 코드 현황 등이 다르기 때문에 Google Analytics 단일코드는 모든 사이트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이는 데이터 수집과 정확성에 문제를 일으켜서, 신뢰성과 활용성을 잃어버리게 합니다.
추가적으로, 2년간 브랜드 담당자들이 여러 번 바뀌면서,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Google Analytics 보수 시도가 있었지만 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 현황 및 히스토리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주었습니다. 특히, 사이트 외부 스크립트의 경우, 어떠한 목적으로 어떤 방식을 통해 심어졌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작업을 진행한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지만, 여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Our Approach
광고 진행 및 프로모션과 같이 마케팅과 판매 활동이 활발한 브랜드이다 보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브랜드 실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수립했습니다. 또한, Google Analytics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실무진들의 활용성을 높이고, 이후 유지보수를 고려한 설치 방법을 택하였습니다. 이후 세팅 및 보정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브랜드 실무진들에게 Google Analytics 사용법과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Our Recommendations
Google Analytics 세팅에 방해되는 요소와 특이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사이트 전반적인 Google Analytics와 Google Tag Manager 관련 코드들을 찾고 각 코드들의 역할을 파악해서 수정 및 제거하는 방향으로의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브랜드 담당자에게 조치 사항을 전달하고 협의한 후 진행되었습니다.
향후 활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Google Analytics 단일코드가 아닌 Google Tag Manager를 사용하여 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Google Tag Manager는 직접 모든 코드를 넣는 것보다 각 코드의 목적을 파악하기 쉽고, 유지보수에 체계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브랜드 유입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시간대에 반영을 하고, 안정성을 확인하면서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중간에 미팅을 통해 담당자들의 Google Analytics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조사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검토하였습니다. 모든 Google Analytics 설치가 끝난 후 실무진에게 사용법과 활용법, 그리고 사용하면서 발생된 질문에 답변을 드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프로젝트에는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가 적용되었습니다.
- Google Analytics 세팅 현황 진단 및 방법론 설계
- 사이트 소스코드 점검 및 조치
- Google Tag Manager를 통한 Google Analytics 세팅
- 중간 미팅을 통한 피드백 및 니즈 파악
- 중간 미팅 내용을 반영한 Google Tag Manager 콘솔 세팅
- Google Analytics 교육 진행
여러분의 고민을 전문가와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세요
상담하기
전자상거래 기업의 분석 도구 관리 사례
The Situation
A기업은 약 2년간 Google Analytics를 업데이트 하지 않고, 이전 업체에 의해 세팅된 코드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음에도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던 상태였습니다. A기업은 내부에 많은 브랜드가 속해 있는 구조로,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단일 코드를 통해 Google Analytics를 설치하였습니다. 그러나, 각 사이트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 구조, 삽입된 코드 현황 등이 다르기 때문에 Google Analytics 단일코드는 모든 사이트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이는 데이터 수집과 정확성에 문제를 일으켜서, 신뢰성과 활용성을 잃어버리게 합니다.
추가적으로, 2년간 브랜드 담당자들이 여러 번 바뀌면서,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Google Analytics 보수 시도가 있었지만 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 현황 및 히스토리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주었습니다. 특히, 사이트 외부 스크립트의 경우, 어떠한 목적으로 어떤 방식을 통해 심어졌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작업을 진행한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지만, 여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Our Approach
광고 진행 및 프로모션과 같이 마케팅과 판매 활동이 활발한 브랜드이다 보니,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브랜드 실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수립했습니다. 또한, Google Analytics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실무진들의 활용성을 높이고, 이후 유지보수를 고려한 설치 방법을 택하였습니다. 이후 세팅 및 보정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브랜드 실무진들에게 Google Analytics 사용법과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Our Recommendations
Google Analytics 세팅에 방해되는 요소와 특이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사이트 전반적인 Google Analytics와 Google Tag Manager 관련 코드들을 찾고 각 코드들의 역할을 파악해서 수정 및 제거하는 방향으로의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브랜드 담당자에게 조치 사항을 전달하고 협의한 후 진행되었습니다.
향후 활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Google Analytics 단일코드가 아닌 Google Tag Manager를 사용하여 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Google Tag Manager는 직접 모든 코드를 넣는 것보다 각 코드의 목적을 파악하기 쉽고, 유지보수에 체계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브랜드 유입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가장 적은 시간대에 반영을 하고, 안정성을 확인하면서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중간에 미팅을 통해 담당자들의 Google Analytics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조사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검토하였습니다. 모든 Google Analytics 설치가 끝난 후 실무진에게 사용법과 활용법, 그리고 사용하면서 발생된 질문에 답변을 드리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프로젝트에는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가 적용되었습니다.
여러분의 고민을 전문가와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세요
상담하기